
입동이 지나면 김장도 해야 한다 소설 추위는 빚을 내서라도 한다 우리나라의 24절기 중 '겨울 절기'에 속하는 입동, 소설, 대설, 동지, 소한, 대한 절기의 날짜와 유래, 풍속과 관련음식, 그리고 전해오는 유래와 풍습, 그리고 속담 등을 소개하겠습니다. 글 아래에 24절기 뜻과 정보, 24절기별 달력도 첨부해 있으니 함께 보세요. 입동 (立冬) • 날짜 - 2024년 11월 7일 (목), 오전 7시 20분 • 유래 - 중국에서는 입동 후 5일씩을 묶어 3후(三候)로 삼았다. 초후(初候), 중후(中候), 말후(末候)가 그것으로 초후에는 비로소 물이 얼기 시작하고, 중후에는 처음으로 땅이 얼어붙으며, 말후가 되면 꿩은 드물어지고 조개가 잡힌다고 하였다. • 소개 - 겨울이 시작된다고 하여 입동(立冬)이라고..

24절기 뜻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,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 15° 간격으로 점을 찍어 총 24개의 절기로 나타냅니다. 태양의 위치 변화에 따라 계절을 세분화하여 한 해를 24등분한 것을 말합니다. 이는 중국의 전통적인 달력 체계에서 유래하였으며, 주로 중국, 한국,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사용됩니다. 각각 약 15일씩 간격으로 발생하며, 계절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중요한 기준점입니다. 이러한 절기는 태양의 진경(日經)이 특정한 경도를 지나는 시점으로 정해집니다. 예를 들어 첫 번째 절기인 입춘은 태양이 옥외(黃經) 315도를 지날 때로 정의되며, 이는 보통 2월 3일 또는 4일경입니다. 이후 절기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정해지고 발생합니다. 24절기 정의 ..